와튼 교수 제레미 시겔은 주식시장의 잃어버린 10년에 대한 예측은 근거가 없으며 인플레이션 이후 연간 6%의 수익률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 와튼 교수인 제레미 시겔에 따르면 잃어버린 10년의 주식 후렴구는 사실무근이라고 한다.
- 시겔은 주식시장이 앞으로 인플레이션의 6% 순이익률을 연간으로 환산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 장기투자자라면 지금 당장 사겠다. 장기적인 가치가 절대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라고 Siegel 씨는 말했다.
Stanley Druckenmiller에서 Ray Dalio에 이르기까지 월가에서는 주식시장이 2000년대 중반이나 1970년대처럼 사실상 수익률이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는 "잃어버린 10년"을 시작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전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우려는 수십 년간의 인플레이션 고점, 러시아와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 세계 통화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고려할 때 일리가 있어 보인다.그러나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제러미 시겔 교수는 주식시장의 건전한 수익률을 여전히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견해는 근거가 없다고 믿고 있다. 그는 다우나 S&P500지수가 향후 10년간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데 전적으로 반대한다고 말했다.
시겔은 단기적으로는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인정했지만 "16배의 수익에 대해 말할 때, 그리고 그들이 경기 침체로 인해 타격을 받더라도, 나는 절대적으로 훌륭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좀 더 내려갈 수 있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물론 단기적으로는 하락폭이 약세장에서는 더 커진 게 사실이다." 라면서 단기적으로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을 계속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점점 더 하방으로 집중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시겔은 연준이사회 (FRB)가 뒤처진 경제지표보다는 현재의 시장지표를 살펴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FRB는 미래를 내다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장, 주택시장, 임대시장, 상품시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이다. 그러나 이 모든 불확실성은 시겔이 현재 주가로 보고 있는 가치를 감안할 때 궁극적으로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좋은 기회이다.
"장기투자자라면 지금 당장 사겠다. 장기적인 가치가 절대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라고 Siegel 씨는 말했다.
10년 후라고 하면, 시장에서의 수익률이 인플레이션 이후 연간 6%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일 때 다우지수는 같은 수준이 될 것이고 이는 장기 평균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채권보다는 훨씬 낫다는 계산이다. 그리고 2001년 또는 1970년대 초와 같은 정점에서 시작된 현재와 과거 잃어버린 수십 년 간의 또 다른 큰 차이점은 주식 시장이 더 이상 정점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정점보다 25%나 떨어졌습니다.절정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절정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저 역시 특별히 과대평가된 수준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닙니다.", "당신이 지금까지의 가격 중 가장 싼 가격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경제상황은 전혀 부정적이지 않다"라고 그는 말했다.
사실 낮은 실업률과 탄력적인 소비 지출을 감안할 때, 시겔은 현재의 경제 상황이 2009년과 같은 이전의 약세 시장 때만큼 심각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틀린 말은 아니다. 시겔은 투자자들이 인덱스 펀드를 사들이고 가치주에 대한 노출을 소유함으로써 현재의 주식 하락을 이용하고, 주식 시장의 시간을 재려는 유혹에 빠지지 말 것을 권고했다.
이런 하락장에는 단기적인 혼란과 장기간의 반등을 볼 수 있는데 그는 자신의 경험으로는 사람들이 주식이 하락하고, 내려가기 시작하면, 사람들이 빠져나가는 지점보다 훨씬 더 높아야 다시 들어오는데 그것이 가장 큰 위험이고 잘못된 선택 이라고 말했다. 시겔은 "바닥보다 먼저 나가더라도 단기 타점을 기록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결론지었다.
결론
주식투자에 있어 주식 매매 경험이 많건 적건 가장 하기쉬운 대표적 실수 중 하나가 바로 자만이다. 나는 머리 꼭대기에서 팔고 발바닥에서 주을 수 있다는 자신감과 착각이 그것이 무너졌을 때 다시 시장으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저점 즉 무릎 아래에서 개수를 모아 나가지 못하게 이른바 옳은 선택을 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한다.
워런 버핏도 조지 소로스도 누구도 바닥이 어딘지 알 수가 없다. 우리는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바탕으로 주가가 저렴한 구간에 들어섰을 때 분할 매수하고 장기로 투자하는 필승의 전략을 잊어서는 안 된다.
댓글